ABOUT ME

-

  • 주식용어 PBR, PER, ROE 에 대해 쉽게 접근 하기!
    투자 2024. 2. 21. 13:09
    반응형

    주식을 시작하면 PBR, PER, PER라는 용어를 언젠가는 듣고 보게 됩니다.

    보자마자 머리가 아프고 몸에 힘이 빠지고 타이레놀을 찾게 되는데요.

     

    용어가 어려운 이유는 간단하게 요약 가능 합니다.

    • 처음 보는 주식 용어이다
    • 영어다
    • 처음 보는 주식 용어 + 영어이다

    오늘 글에서는 이 PBR, PER, ROE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을 한번 해볼까 합니다.

     

     

     

    자동목차

     

     

     

    PBR, PER, ROE 용어적 설명


    PBR(Price Book-value Raito) - 주가 순자산 비율 (1을 기준으로 1보다 낮으면 기업 재정이 안정적 이라는 뜻입니다.)

    •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입니다.
    • 즉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비율 (PER이 높으면 회사가 현재 돈은 못 벌고 있어도 미래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다라는 뜻입니다.)

    • 어떤 회사의 주식가치, 더 나아가 전체 주식시장의 가치가 고평가 됐는지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잣대입니다.
    • PER은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특정회사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 한 주에 10,000원하는 회사주식이 1년에 주당 1000원의 순이익을 낸다면? PER은 10 이 된다.​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

     

    ROE(Return On Equity) - 자기 자본 이익률 (투자자는 ROE 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의 공식으로 산출됩니다.
    •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는 벌어 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합니다.
    • ROE  = 순이익 / 순수내돈 * 100

     

     

     

    쉽고 간단하게 설명


    아...벌써 부터 머리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이게 뭐가 쉽게 설명하냐고 x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거 같은데!!  그래서 간단하게 설명을 해볼게요.

     

     

    여러분은 20만 명의 대군과 1억 원의 자금을 가지고 있는 군주입니다.

    다른 혈맹과 치열한 대 전투 끝에 아덴성의 성주가 될 자격을 얻었고, 대출 1억을 받아 초기 인수 비로 보증금 1억원 + 권리금 1억 원을 내고 2억의 가치가 있는 아덴성의 성주가 되었습니다.

     

    아덴성을 운영하면 연간 2천만의 순이익이 계속 생기지만 현재는 가지고 있던 자본금도 다 쓰고 대출도 1억을 받아 혈맹원들에게 줄 수 있는 게 없던 성주는 혈맹원들에게 아덴성의 운영에 관여할 수 있는 토큰을 1개씩 나눠 줬습니다. 토큰은 현재 시세로 1000원에 사고팔 수도 있습니다.

     

    자, 위 내용으로 제가 설명하려고 했던 PBR, PER, ROE에 대한 기본내용들이 다 나와버렸습니다!

    (토큰을 주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략하게 도표로 설명


    위의 내용을 도표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가치, 창업자금, 순이익 등은 헷갈리지 않게 기업이라 생각 하고 작성하였습니다.)

     

     

     

    마무리


    어떤가요? 이해가 쉽게 되시나요?

    최대한 쉽게 풀어써보려고 했는데 글 보시고 바로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단순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PBR 이 1보다 낮을수록 안전하다
      • 투자적 관점에서 낮을 수록 저 평가
    • PER이 높으면 회사가 현재 돈은 못 벌고 있어도 미래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다
      • 투자적 관점에서 낮을 수록 좋음
    • ROE 가 높을수록 투자자에게는 좋다

    하지만 주식이 이렇게 단순하게 된다면은 재미가 없겠죠!?

    많은 예외 사항이 존재하고 많은 외적인 방해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더 자세한 건 앞으로 추가되는 글로 설명을 드리고 오늘은 PBR, PER, ROE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